학습과학의 최신동향(Current Trends in the Learning Sciences : Whats up in Pittsburgh)
- 전문가 제언
-
□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과 교육현장에서 정보시스템의 이용이 일상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학교교육 및 기업내교육, 생산현장교육 등 여러 교육장세 e-learning 관련 정보시스템, 교육서비스가 제공되고 학습콘텐츠는 질적, 양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 그러나 학습지원시스템, 학습콘텐츠의 설계, 학습평가의 가이드라인의 보완이 시급한 상황에 놓여 있으며,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각종 실험을 통하여 학습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육상의 디자인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 학습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향상 시키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며 값진 것이다. Pittsburgh 지역에서 연구 실험되고 있는 자기 설명에 대한 것은 국내에서도 일부 활용하고 있는 사항으로 학생 스스로 발표하고 듣고 질문하고 교수는 다만 주관만하는 것이다. 과거의 교수중심의 강의 방식을 떠나 많이 변한 모습이다. Self Learning, Self Tutoring 도 같은 부류에 속한다고 보며 국내서는 학부 과정보다 대학원에서 일부 실시되고 있다
□ 그리고 보다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올리는 방법으로 두뇌요인으로 집중력과 심리요인으로서 스트레스 제거, 학습기술요인으로서 시간관리, 등과 함께 환경요인, 신체요인 그리고 교과 특성요인을 들 수 있겠지만 결국 학습 당사자의 자각이 먼저 선행되어야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 분야가 극히 제한적이지만 공학 교육인증제에 따르면 강의계획서가 보다 구체적이고 정기 필기시험에 추가하여 학기 중 3회에 걸친 평가 그리고 12항목에 걸친 학습 성과를 강의 후에 실시하여 개선점을 찾도록 하고 있는 점도 학습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도이며 학습과학 또는 학습공학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 저자
- Noboru MATSU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21(3)
- 잡지명
- 교육시스템정보학회지(J61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87~192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