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톨로지에 기초한 학습활동의 모델링(Ontology Based Modeling of Learning Activity)
- 전문가 제언
-
□ 학습과학은 학습지원시스템, 학습콘텐츠의 설계. 실현, 평가의 가이드 라인의 미흡한점에 대한 것을 정면으로 대응하지 않고 IT를 구사하면서 실천을 통해 현상을 해명하려는 학문영역이며 학습과학과 학습/교육지원시스템의 성과를 거쳐 문제해결의 근사적 기법을 찾아내는 학문영역이기도 하다.
□ 1919년의 Parker C. C에 의한 회화법(conversation method)이 주입식보다 훨씬 유익하다는 가설에 따라 토론 중심의 학습을 권장하고 있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교육과 실험(education & experiment)과 같은 모듈들을 대상으로 형편에 맞게 적용하여 보완하면서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특히 사이버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동영상을 통하여 강의가 실행되고 있지만 성과면에서 아직도 초기수준에 있다고 본다.
□ David Ellis의 학습효과를 올리기 위한 7가지 주장은 ① 학습의 중요성에 의미를 부여하여 자신의 목표라는 관점에서 보도록 하고 ② 큰 과제를 적게 구분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하고 ③ 자기의 의지를 써서 가지고 다니도록 하여 ④ 다른 사람에게 지신의 의지를 알려 목표를 달성하게 하고. ⑤어떤 보상을 받는 것을 생각 ⑥ 당장 실행 ⑦ 그만두기로 구분해서 실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 제안되고 있는 각종 학습콘텐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가장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시행한 후 장단점을 평가하여 부족한 점에 대하여 끈기 있게 보완하여 조금씩 개선하여 가는 방법이 바람직하며 이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공학교육 인증제도에서 절차상 학생의 선 이수 과목 수준평가에서부터 강의 중간 설문 분석, 강의 평가분석, 학습 성과 달성분석, 강의 비디오 촬영 분석, 학생상담실적 및 다음 강의 개선을 위한 강의품질개선서(CQI Report) 등은 교수/학습지원시스템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최근 인지뇌공학을 활용한 분야와 융합해서 생각하는 것이 학습효과를 올리는 방안이 될 것이다.
- 저자
- Mitsuru IKEDA ; Yusuke HAY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21(3)
- 잡지명
- 교육시스템정보학회지(J61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68~177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