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건전성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 전문가 제언
-
□ 선박은 각종 수송수단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복잡하며 방대한 시스템적 결합체이다. 선박을 운항함에 있어서도 단순한 엔진의 가동이나 조타 시스템의 운용만이 전부가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선박은 건조되어 취항하면 적어도 수십 년간의 운항을 계속해야 하는 시간적인 영속성도 있다. 이러한 선박을 폐선 되기까지 잘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의 확립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선박사고는 막대한 재화의 손실뿐만이 아니라 수많은 인명피해도 감수해야 하는 등 실로 손실이 막대하다. 이러한 선박사고는 사람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와 선체의 구조적 결함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있다. 이 가운데 선체의 구조적 결함과 관련된 이러한 사고는 미연에 철저한 사전점검 및 모의훈련을 통하여 사전 방지가 가능할 것이다.
□ 본고에서는 선박의 설계에서부터 검사까지, 모든 정보자료의 통합관리와 시스템 모의시험에서 전체적인 선박의 피로진단에 이르기까지 종합적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취급하는 시스템 진단에는 적재하중, 파랑하중 및 폭풍모델에 이르기까지 예측시스템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 균열 진전속도의 예측평가 문제에 있어서는 시간에 따른 균열의 진행방식이나 진행속도가 부분적인 부식정도 등에 따라 변수가 다양하므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 실행상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설계부터 유지보수 및 최종 선박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통합적인 정보관리체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Sumi Y.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882)
- 잡지명
- 일본조선학회지(C1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751~755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