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환경 계측에서 리모트센싱의 과제와 기대(The Subjects and Expectations of Remote Sensing for Measureing Environments of Agriculture and Forest)
- 전문가 제언
-
□ 쌀 관세화 유예협상으로 인한 국민적 관심 속에 최고의 쌀 만들기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등, 농산물 수입자유화에 대한 대책으로 농산물의 품질경쟁력 강화가 큰 과제로 되어 있다.
□ 이를 위해선 정밀농업기술 개발이 강조되고 있는데, GIS에 의한 지형도 제작과 농산물 수량 지도를 위한 작물생태 측정용 센서 및 계측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 더욱이 최근엔 엘니뇨 등 기상이변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커지고 있어서 농업기상 관측이 중요해지고 있는데,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에 의한 기상정보 입수가 필수적이 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아리랑위성을 이용하여 2003년부터 작물정보와 작황정보 등 위성영상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작황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 또한 LANDSAT의 위성자료를 입수하여 토지를 덮는 등급을 판독함으로서, NVDI 수치에 따라 경작물과 수림을 구분 가능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 본문의 일본은 높은 분해능력의 원격탐사 자료를 다양하게 입수 활용하고 자체개발 위성계획도 갖고 있는 등 선진농업과 산림관련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우리도 발사된 아리랑위성을 통하여 산림을 덮는 변화의 연구와 산불재해 분석을 진행하고 있으며, EOC와 OSMI 영상 그리고 선진위성 자료를 입수 활용한다면, 농작물 작황과 병충해피해의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농지와 산림의 기상정보에 의한 과학적 관리를 위해 높은 분해능력의 원격탐사 기술을 개발하고 아울러 해외의 유수한 위성자료의 분석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농업과 임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 될 것이다.
- 저자
- Yukio MUKA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854~858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