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성 및 항공기 탑재형 레이더에 의한 기상 리모트 센싱의 성과와 전망(Remote Sensing of Atmosphere with Spaceborne/Airborne Radar(Result and Future))

전문가 제언
□ 최근 우리나라에도 국지성 호우가 빈발하는 등 태풍과 폭우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막대해지고 있어서, 재난방지 차원에서 첨단 기상예보 기술의 중요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

□ 기상 레이더는 강수 echo의 탐지와 이동경향을 알 수 있어서 단시간 예보가 가능하며, 특히 도플러 레이더는 24시간 부피관측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분석이 가능한 특징으로 전 세계 기상관측에서 도입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1969년부터 관악산을 시초로, 지금은 도플러 레이더로 전국적인 관측망을 구성함으로서, 비구름의 분포와 강도 및 이동상태를 분석 예보하고 있으며, 연구용이긴 하지만 1997년부터 이동식 도플러 기상 레이더(DWSR)를 운용해서 구름 물리과정과 집중호우 등 국지 기상예보와 기상 취약지역의 지원을 하고 있고, 특히 이중 편파관측 자료로 정확한 강수량 산출을 연구하고 있다.

□ 이 같은 기상레이더 기술도 관측지역에 따라 강수형태가 다르고 레이더의 운용방법에 많은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잡음의 효과적인 제거로 신뢰성을 높여야 하는 등 과제도 많다.

□ 본문에서는 강우 레이더와 구름 레이더의 최신기술, 이용현황과 전망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기동성을 살린 항공기용 레이더의 활동이 주목된다.

□ 현재, 우리나라는 S밴드 타입으로 기상레이더를 교체하고 슈퍼컴퓨터를 도입함으로서 수치 예보기술이 정착되었고, 위성자료 수신 분석 시스템도 계속 보강 중으로 특히 2006년부터는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킨 디지털 기상예보를 실시예정인데, 2008년엔 우리 독자의 정지궤도 통신해양 기상위성(COMeS) 발사도 계획 중으로 기대가 크다.

□ 첨단 최신 기상장비의 도입과 함께 중요한 것은 이를 분석 운용할 기술연구 인력의 확보이므로, 정책적인 지원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Yuji OHS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3(11)
잡지명
계측과 제어(E109)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32~83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