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원격 탐사기술의 기대(Remote Sensing Technologies in the Next Generation)
- 전문가 제언
-
□ 위성이나 비행체 등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금세기에 들어와 현저하게 기술진보를 이루고 있고 그 이용도 확대되고 있다. 육지, 연안, 해양생태계의 관리 및 보호, 기후변동이나 자연재해에 대한 예측이나 대응, 그리고 에너지자원의 탐색이나 수자원의 관리에 이르기까지 그 이용의 범위가 넓어지고, 내용도 심화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2004년 Tokyo에서 개최된 지구관측 정상회의에서 논의된 지구관측의 목표와 선정된 9개 항목의 과제를 설명하고, 지구관측의 중요수단인 원격탐사에 있어서의 이용기술과 계측 · 데이터 처리기술 등 필요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수준에서 소개하였다. 결국 관측의 고 분해능화(高分解能化) 등 원격탐사의 하드웨어 관련기술은 현저하게 진척되었지만, 얻은 데이터를 정보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에 있어서는 아직도 할 과제가 많다고 하겠다.
□ 특히 관측 데이터를 실사용에 유용한 정보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분광학을 비롯한 지리학, 화학, 물리학, 생화학 등의 관련지식 습득은 물론, 센서모델, 대기방사전달모델, 수중방사전달모델, 열방사전달모델 등 순과정 모델 등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상관측과 원격탐사를 결합하여 상호 데이터를 보완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위성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원격탐사는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 · 자산의 소실예방과 경감, 환경보존 및 관리와 부존자원의 탐색 등 국가적으로 발전시키지 않을 수 없는 전략적 과제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원격탐사분야 연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당장 하기 어려운 분야는 선진국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우선 우리가 강한 분야인 반도체, 통신, 멀티미디어, 영상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원격탐사관련 연구과제 수립과 투자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Yoshifumi YASU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09~814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