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대기환경 관측을 위한 리모트 센싱의 현재와 미래(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arth : Expectations of Future Remote Sensing) Present and Future Meteorological and Atmospheric Environment Remote Sensing
- 전문가 제언
-
□ 최근 서남아시아 지역의 지진발생으로 인한 지진해일로 말미암아 기상재해 경보체제 미비에 대한 경종으로 세계적인 경각심을 불러오고 있는 가운데, 기상재해 피해규모가 점차 대형화하는 추세이다.
□ 우리나라 기상청도 전국 94개 관측소에서 자동기상관측장치(ASOS)와 많은 무인자동기상관측장비(AWS) 그리고 기상관측선을 운용하고 있으며, 기상예측을 주요 재난대책으로 활용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 지상 뿐 아니라 고층 기상관측을 위해서 백령도 등 5개 지역에 지상 30㎞ 상공까지 라디오존데로 기상요소를 관측하고, 현재 윈드 프로파일러도 더욱 확충할 계획이다.
□ 기상레이더 관측도 백령도 등 8개소에 도플러 기상레이더를 설치해서 예보에 활용 중이며, 6개소의 공항 기상관측소도 운영하여 AMOS 장비 TDWR 장비 등을 갖추고 정시관측 및 저층난류경보도 하고 있다.
□ 특히, 한반도를 포함하여 전 지구적 기상현상의 자료수신을 위해서 정지 기상위성인 GOES 등과 극궤도 기상위성인 NOAA에서 자료를 받을 수 있는 기상위성수신분석시스템(MESDAS)과 21개소의 소형위성수신기(SDUS)도 운영하고 있다.
□ 다만, 미국과 일본은 RASS를 이용하여 기온의 수직분포도 측정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본문에서는 일본 자체 기상관측현황과 함께 국제적인 공조체제와 단독체제 병행으로 위성을 이용한 원격관측의 미래계획까지 보여주고 있다.
□ 우리나라도 금년 계획으로는 2008년까지 정지궤도 위성을 발사하여 기상 상시관측과 재해경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인데, 이미 슈퍼컴퓨터 2호기 도입으로 고 분해능 전 지구 예보모델을 대학과 공동개발 중이어서 기대가 크다.
- 저자
- Osamu UCHI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37~841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