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리모트센싱의 현재와 미래(Expectations of Future Remote Sensing)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 in Ocean Remote Sensing)
- 전문가 제언
-
□ 1967년 세계기상기구(WMO)는 세계기상 감시 계획에 의해, 위성에 의한 지구대기연구계획(GARP)을 세우고, 미국 러시아 일본의 참가 아래 정지궤도와 극궤도에 위성을 올림으로서 지구환경에 대한 입체적 관측이 최초로 가능해졌다.
□ 이후, 1972년 미국의 자원탐사용 Landsat 1호를 시작으로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사가 활발해지면서, 해양파고 관측이나 위치추적, 해양순환의 메커니즘에 중요한 해면풍 그리고 표면높이를 측정하여 해류분포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 우리나라는 종합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와 이어도호를 운영하면서 연안해역의 해양기상요소 등을 관측하고 있고, 이어도에 큰 규모의 종합 해양과학 무인 기지를 세움으로서 태풍의 진로를 사전 예보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 위성원격탐사는 외국 탐사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해양자료센터에서 해양환경(수온, 염분, 풍향, 풍속),해양생태(엽록소, 등), 해양오염을 분석하여 해양기상 예보에 활용하고 있고, NOAA, SEAStar, GMS 등의 위성을 이용한 해양원격탐사의 다중분석시스템을 운용하여, 해양원격탐사와 종합 해양 관측망으로 어장정보, 적조조사, 지구온난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 본문에서는 마이크로파센서의 종류와 이용 상황, 최신해양원격탐사의 현황을 소개하고 있어 전 지구적 환경대응에 희망을 갖게 하고 있다.
□ 우리도 방송 통신용인 무궁화, 우리별 외에 1999년부터 해양관측이 가능한 다목적 위성인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의 OSMI(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센서에 의해 지구관측, 해양관측과 이온층 관측에 나서고 있다.
□ 해양원격탐사기술은 해양관측위성을 이용하여 위성자료의 신속한 처리와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 해양환경 분석기술, 원격탐사 기술 등에 달려 있으므로, 전문연구기관, 자료의 DB화, 전문인력 육성에 기대를 걸고 싶다.
- 저자
- Masahisa KUBO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42~847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