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문환경계측에서 리모트센싱의 기대와과제(Expectations and Issues on Romote Sensing for Hydrologic Environmental Measurement)

전문가 제언
□ 세계 식량농업기구 FAO는 1972년 산림자원 평가보고서를 통해서 열대림 등 산림자원에 대한 국가 국제적 관심을 고조시키고, 이후 삼림피복현황과 변화율의 추정, 삼림 환경적 영향과 서비스기능 연구 등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2005년 2월 16일을 계기로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서,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방출감소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가운데, 대안의 하나로 삼림파괴를 줄이고 산림생산성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연구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 개간에 따른 삼림파괴는 심각해서 열대우림도 10%이상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생물다양성 확대측면에서도 산림자원 확대가 필요하며, 최근 수문환경 측면에서 기존의 댐 대신 산림의 홍수조절 기능에 주목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 우리나라는 아리랑위성을 통해서 산림피복 변화연구와 산불재해 분석 등을 하고 있고, LANDSAT 등 해외 위성자료 등을 이용하여 벌목상태 등 산림지역의 모니터링, 산림자원 탐사, 하천 및 수계조사 등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 본문에서는 LANDSAT의 원격탐사데이터를 이용하여 댐 상류역의 수치지도, 식생분포별 분광반사율 등을 산출하고, 강우량 유출 모델에 의한 해석으로 정량적 수문환경 파악을 가능케 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교토의정서의 발효로 2008년부터 협약을 앞두고 있어서 대안으로 탄산가스를 흡수하는 산림자원의 확보가 필요한데, 현재의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산림자원 관리에 더욱 충실을 기하고, 동시에 바이오 매스의 양을 정밀 조사하여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우리 실정에 맞는 강우량 유출 모델도 개발하여, 지역별 산림의 수문 환경적 유효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산림의 포텐셜을 극대화 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Hajime NISHIKAWA ; Manabu TSUBOMATSU ; Tsutomu KONDOH ; Yoshiyuki YAM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4
권(호)
43(11)
잡지명
계측과 제어(E109)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48~853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