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다 연구개발의 현상과 동향(The State of the Art and the Future Perspective of Lidar Technique)
- 전문가 제언
-
□ 라이다는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능동적 리모트센싱(remote sensing) 장치이다. 고도계나 거리측정장치로도 이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대기 중의 미립자(aerosol) 및 구름의 분포나 원자 및 분자 밀도, 기온, 풍속 등의 기상 요소를 관측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되어 왔다. 레이저에 비해 특정 원자 및 분자식별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라이다 기술은 라이다 네트워크, 대기 경계층 라이다, 대규모 라이다, 항공기 및 위성탑재 라이다 등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1994년 9월에 쏘아올린 스페이스 셔틀(space shuttle)에 탑승시킨 라이다로 지구대기를 관측하는 LITE계획에서 우주로부터 매우 훌륭한 데이터를 받은 이후, 경쟁적으로 많은 위성탑재라이다를 계획하고 있다.
□ 라이다는 기상관측과 우주공간 연구뿐만 아니라 군사적 방어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미국은 2004년12월 북한상공 대기에서 핵 연료봉을 재처리하여 플루토늄을 추출할 때에 발생하는 방사성 가스 클립톤 85(이는 자연 상태로는 존재하지 않음)를 검출하였으며, 북한이 핵 연료봉 재처리 완료를 선언한 2003년7월에도 검출하였음은 군사적으로 큰 정보를 입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라이다는 지구 이외의 달이나 혹성 탐사에도 이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위성간의 거리 측정에도 이용될 것으로 본다. 미국과 캐나다는 협력하여 2007년에 발사할 예정인 화성탐사선 PHOENIX에 1산란 라이다를 탑재할 예정으로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에 우리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한국도 라이다의 다양한 용도에 대하여 깊이 조사하고 연구하여 다각적인 연구개발이 있어야 하겠다. 우리는 이 분야에 늦은 감이 있으나 지금부터라도 연구개발에 정부, 학교, 연구소가 협력 참여하고, 기초과학에 충실하여 선진 대열에서 뒤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저자
- Chikao NAGAS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1)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20~824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