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분류의 난류 구조(Coherent Structure of a Free Jet)
- 전문가 제언
-
□ 여기서는 축대칭 자유분류의 자기보존 영역에서 조직적 난류의 질서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난류의 질서구조와 대규모구조는 유체역학의 역사 중에서 난류경계층과 같은 정도의 충격적 화제로서 등장하였다. 난잡(亂雜)이 난류의 기본적인 형태라는 개념과는 정반대로, 질서구조는 난류의 이해에 대한 패러다임 시프트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질서구조라는 화제가 유체역학의 새로운 방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도 생각된다. 실험에서 얻어진 조건부 구조가 난류 중의 질서일 때 조건부 구조는 주관적인 경향이 될 수도 있다. 또 유동의 가시화는 질서구조에 힌트를 주는 중요한 관찰방법이나 주관적이 될 수 있는 방법이다. 난류 중의 질서구조는 최종적으로 개관적으로 이해되는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난류의 상태는 천태만상으로 변화하며 두 번 다시 되풀이 되는 일은 없다. 자유분류의 계측에서 일점계측이 대규모 구조의 전체상을 얻기 힘든 것과 같이 흐름의 순간장(瞬間場)의 구조로부터 보편법칙을 추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장시간의 평균이나 앙상블(ensemble) 평균에 의해 얻어지는 평균장에 보편성이 기대될 뿐이다. 즉 동일조건하에서 실험과 관측을 반복하여 얻어지는 수많은 측정데이터를 통계 처리함으로써 난류의 여러 법칙이 실증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Nao NINOMI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23(5)
- 잡지명
- Journal of Japan society of fluid mechanics(J4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55~363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