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터빈과 경합하는 피스톤엔진 시스템(Piston Engine System Competing with Gas Turbine System)
- 전문가 제언
-
□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제조하는 온 사이트 시스템으로서 송전 등 에너지 수송에 따른 손실이 없고 종래의 발전 방식에서는 폐기되는 배열을 회수하여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가스엔진이나 가스터빈의 열병합 발전에서는 발전기를 작동하여 전기를 만들고 배열을 회수하여 프로세스나 공조에 이용하는데 일차 에너지의 효율은 70~80% 수준이 된다.
□ 공장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가스터빈 발전방식의 열병합 발전은 터빈을 고속회전으로 구동하여 발전기를 돌리기 때문에 배열의 양이나 배열온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수십 kW에서 수백 kW급의 마이크로 가스터빈은 피스톤식 엔진에 비해 초기투자가 적고 소형 경량이며 구조가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고 보수 유지비용이 싸다는 이점이 있으나 최근의 전기수요의 증가와 배열 회수이용 수요감소로 종합적인 효율은 비슷하나 발전효율이 높은 가스엔진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 열병합 발전의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는 연료전지는 원료인 가스가 가진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시스템으로 발전효율이 가스엔진보다 높은 약 40%로서 가스엔진이나 가스터빈 열병합 시스템과 경쟁이 예상되며 또한 상호간에 조합하여 사용하면 발전효율이 상승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일본의 Honda회사와 도시가스회사들이 공동 개발한 "Ecowil"로 명명된 1kW 발전용량의 가스엔진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상용화되어 에너지 절약과 환경에 기여하고 있으며 보급률은 계속 상승할 전망이다.
□ 천연가스는 부존자원이 비교적 풍부하고 청정가스로서 온실효과 가스나 유해가스 배출이 적어 액체 석유의 대체에너지로 급부상하여 고효율, 소형화 및 저비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개발경쟁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연료전지와 가스엔진 또는 가스터빈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형성하여 종합적인 열효율을 개선하는 고도의 에너지시스템 개발도 예상된다.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환경을 배려하여 가스이용과 연구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요망된다.
- 저자
- HIRATA Masar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2(6)
- 잡지명
- Journal of the gas turbine society of Japan(M02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42~449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