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합금 박판의 압연 코일 제조공정(Commercial manufacturing processes of rolled thin magnesium alloy coils and their properties)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 합금은 실용 합금 중에서 비중이 가장 작고 비강성과 비강도가 좋아 전자기기와 음향기기의 구조용 경량합금으로 관심이 높다. 그러나 마그네슘 합금은 실온에서의 성형 가공성이 나빠서 판재의 가격이 알루미늄 합금의 10배를 넘으며 구조재로서 이용률이 낮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압연재의 가공기술과 성형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AZ91 마그네슘 합금(Mg-9%Al-1%Zn)과 Al5083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의 크기에 따른 항복응력의 변화를 비교하면, 결정립이 조대한 경우에는 마그네슘 합금의 항복응력이 알루미늄 합금보다 작은데 비해 결정립이 작은 경우에는 마그네슘 합금의 항복응력이 알루미늄 합금보다 높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의 강도를 확보하는데 결정립의 미세화가 필요하다.
□ 마그네슘 합금은 결정립이 미세해지면 초소성 변형이 일어나는데 AZ31 합금의 경우 실온에서 35% 이상의 연신율을 보이며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은 결정립의 미세화와 함께 결정방위를 제어할 수 있어서 고강도와 고연성의 특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온간 성형에서는 플랜지 부분의 변형 저항을 작게 하고 벽 측이 고강도 상태가 되도록 금형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에서 마그네슘 합금 박판의 성형 가공성을 높이고 품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본고에서 정리한 ‘마그네슘 합금 박판의 압연 코일 제조공정’에 관한 내용은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asahiko SATO ; Tuyoshi KAZIYA ; Toshiyuki YAS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4(11)
- 잡지명
- 경금속(E0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65~47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