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결정 마그네슘합금에 관한 소성변형의 미시적 기구(Macroscopic mechanisms of plastic deformation in polycrystalline magnesium alloys)

전문가 제언
□ 최근 실용 금속 중에서 최경량 합금인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마그네슘 합금(AZ31B)의 비중은 1.78로서 철의 1/4.5, 아연의 1/4 정도이며 경량화 합금의 대표적인 알루미늄 합금의 ⅔를 넘지 않는다. 마그네슘 합금은 단순히 무게만 가벼운 것이 아니라 비강도와 비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와 항공기 등의 경량합금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선진각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마그네슘의 결정구조는 조밀 육방격자(HCP)이며, 슬립 변형은 육각기둥의 바닥면인 {0001}면에서 일어나는 바닥면 슬립과 기둥면에서 일어나는 비바닥면 슬립으로 구분된다. 실온에서 마그네슘 합금의 변형은 비바닥면 슬립의 활동이 작아서 연성과 전성이 떨어지지만 가공온도가 상승하면 비바닥면 슬립의 활동이 활발해져서 성형성이 크게 개선된다.

□ 마그네슘 합금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열용량이 작으므로 가열된 금형에 접촉하면 단시간에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250℃ 이상에서 성형이 유효하지만 윤활의 확보와 금형의 열팽창 등이 문제가 되므로 보다 낮은 온도에서 성형을 하는 것이 요망된다.

□ 마그네슘 합금의 성형성은 결정립 크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의 인장특성에 미치는 온도와 결정립 크기의 영향을 보면, 실온에서는 결정립이 미세할수록 강도가 상승하고 연신률은 저하한다. 본고에서 정리한 “다결정 마그네슘합금에서의 소성변형의 미시적 기구”에 관한 기술 정보는 마그네슘 합금의 소성변형 기구를 분석하고 마그네슘 합금의 성형성을 개발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Junichi KOIKE ; Takeo MIYA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4(11)
잡지명
경금속(E0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60~464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