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그네슘합금 판재의 기계적 성질과 성형 가공성(Mechanical properties and formability of magnesium alloy sheets)

전문가 제언
□ 최근 자동차를 포함하는 수송기기의 경량화와 고성능화의 요구에 맞추어 마그네슘 합금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정립의 결정방위와 집합조직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며, 특히 자동차용 보디 판넬재의 고강도화와 고성형성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 급랭응고기술을 이용하면, 마그네슘 합금의 바닥면 슬립과 비바닥면 슬립과의 임계 전단응력의 차이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희토류 원소와 같은 용질 합금원소의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편석을 줄일 수 있고, 결정립의 미세화 및 비정질 상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이들 미세조직 제어를 통해 기계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랭응고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에 의해 쌍정의 생성이 억제됨으로서 소성 이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수송기기의 경량화를 위한 마그네슘 합금에 요구되는 성질 중의 하나인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마그네슘 합금의 낮은 용융점, 낮은 기화점, 산소와의 빠른 친화력, 취약한 금속간 화합물 등과 같이 용접에 제약을 주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용접성을 일정수준으로 갖춘 마그네슘 합금 용접모재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마그네슘 합금을 실구조물에 활용할 수 있도록 레이저 빔 용접, 저항용접, 마찰교반용접과 같은 첨단 접합가공 시스템의 적용기술을 동시에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자동차와 전기 · 전자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의 국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본고에서 제공하는 "마그네슘합금 판재의 기계적 성질과 성형 가공성"에 관한 기술 정보는 향후 마그네슘 합금의 성형성 개발을 위한 연구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Junichi KANEKO ; Makoto SUGAM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4(11)
잡지명
경금속(E05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84~492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