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이용 구조물에 사용되는 섬유막재료(Membrane Materials Composed of Fabric for Use of Membrane Structures)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는 환경부하를 줄이는 목적으로 막 재료를 이용한 구조물이 많이 구축되고 있고, 막 구조물은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새로운 디자인과 현대의 감각을 표현하기에 유리한 면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종합적으로는 현재에 들어가는 환경부하와 장기간 사용 시의 내구력 등을 종합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우리나라에도 2002년에 제주도에 축구경기장의 일부 지붕을 막 재료를 이용한 구조물로 만들었으나, 불의의 태풍으로 일부분의 훼손이 있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시공 시의 안전인자를 잘못 계산한 것인지 혹은 시공에 대한 잘못이 있었는지 확실치는 않으나, 이러한 문제점들을 철저히 점검하여 앞으로의 설계기술에 반영하여야 한다.
□ 여러 가지 정점을 가진 막 재료는 자외선에 의한 취약하다는 면에서 철저한 점검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재료는 자외선에 의하여 대부분 취약을 면할 수 없다. 따라서 자외선에서 보호될 수 있는 가공을 실시하나 장시간 노출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점검이 절실히 요구된다.
□ 구조물을 설계하고, 설치를 하는 경우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재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도 기술했듯이, 미세한 크랙이 작은 인장력으로 쉽게 인렬(引裂)로 발전하는 것을 알았다. 재단 및 설치 시에 약간의 결점이 구조물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Hirokazu MINA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3(11)
- 잡지명
- 재료(A05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05~1212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