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술부위감염 감시(Surgical Site Infection Surveillance)

전문가 제언
□ 수술부위감염(SSI)은 병원감염 중 요로감염, 폐렴 다음으로 많으며 NNIS 시스템 보고서에 의하면 원내감염전체의 14-16%가 된다고 하였다. 감염의 주요 병원체는 황색포도상구균(20%), coagulase음성포도상구균(CNS, 14%), 대장균(8%), 녹농균(8%)등이다. 수술부위감염의 성립은 세균오염량, 세균독성, 숙주인 환자의 저항성이 중요한 변수가 되며 수술부위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원의 제거, 감수성이 있는 숙주의 보호, 감염경로의 차단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 감염감시(surveillance)란 병원감염의 발생 상황, 추이 등을 계속 감시하고 감염 대책에 필요한 자료를 계통적으로 수집,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관계의료기관에 정기적으로 환원하는 것을 말한다. 감염감시사업은 의료기관에서 병원감염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제공받아 약제 내성균의 발생 동향과 환자의 기초질환 등의 관련을 밝히는 해석과 평가를 한다. 또 이 사업은 그 결과를 참가의료기관에 환원하고 동시에 국내의 의료기관의 병원감염대책을 지원한다. 감염감시사업을 실시하면 의료기관은 원내 병원체의 감염률 동향과 항균제 대한 내성을 알 수 있고, 원내감염대책의 우선 과제, 원내감염의 예방과 제어 방법을 명확하게 수립할 수 있으며 또 감염률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 일본의 경우 병원감염감시사업은 후생노동성이 실시하고 있으며 전국의 참가의료기관은 2002년 9월 현재 518시설이며 외과수술부위감염 부문감시에 참가한 의료기관은 50시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에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KOSNIC)가 창립되었으나 아직 일본과 같은 체계적이고 전국적인 사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우리나라도 병원감염감시가 활성화되면 병원 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의료의 질도 향상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Toshiro Konishi ; Yasushi Harihara ; Keita Morikan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05(11)
잡지명
일본외과학회잡지(J42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20~725
분석자
박*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