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체의 변성 단백질처리를 매개로한 뉴론 사 방어 작용(Protective effects of HRD1 and 4-phenylbutyric acid against neuronal cell death)
- 전문가 제언
-
□ 이번에 필자들은 소포체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것으로서 ERAD에 의한 단백질분해와 chemical chaperon에 의한 축적방지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신경변성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으로서 그것을 사용한 치료약의 개발을 기대하나 문제점이 많이 남아있다.
□ 그 발병이 언제부터 또, 어느 정도의 기간에 걸쳐 단백질이 축적되는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신경변성질환의 발병기서의 해명과 진단법의 확립이 먼저필요하다. 또 소포체 스트레스가 여러 가지 질환에 관여하는 것이 보고 되어 있으나 소포체 스트레스가 원인인가, 또는 단순한 결과인가는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
□ 그래서 필자들은 4-PBA가 in vitro에서 chaperon작용이 있는가를 검토한 바, 4-PBA는 단백질의 folding을 촉진하지 않으나, 응집을 저해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래서 4-PBA가 chemical chaperon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서는 고농도가 필요한 것은 4-PBA가 약리학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고 물리화학적으로 변성된 단백질에서 노출된 소수(疏水)영역을 보호하여, 단백질들의 응집을 방지하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 Pae1-R을 COS-1세포에 transfection(분리된 세포를 감염시킴)시켜 소포체chaperon의 유도를 지표로 Pae1-R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의 유도와 4-PBA에 의한 그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4-PBA의 첨가에 의해 Pae1-R의 과잉 발현에 의해 GRP78과 GRP94의 유도가 억제되므로 Pae1-R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가 경감되는 것이 알려졌다.
□ 그래서 4-PBA는 CFTR이나 α 1-anti-trypsin이외에도 소포체에의 단백질의 축적을 억제하여 소포체 스트레스가 관련된 질환에 응용될 가능성이 보여 진다. 이것으로부터 4-PBA는 낭포성선유증 등의 말초질환만이 아니고, 신경변성질환 등의 중추신경계의 conformation병에도 적응될 가능성이 있다.
□ 앞으로, Pae1-R이외의 신경변성질환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단백질에 대하여 4-PBA가 축적 저해효과를 가지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asayuki KANEKO ; Yasuyuki NO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24(6)
- 잡지명
- 일본약리학잡지(F15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91~398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