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종 조혈 줄기세포이식에 진균감염증 예방(Fungal Prophylaxis following Reduced-intensity Stem Cell Transplantation(RIST))

전문가 제언
□ 조혈줄기세포이식(造血幹細胞移植)은 진행기의 조혈종양(造血腫瘍)에 대한 근치요법으로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다. 전 처치강도(前處置强度)를 약하게 하는 이식법(移植法)이 개발되어, 미니이식(mini-transplantation)이라고 말하고 있다. 미니이식에는 전 처치(前處置)에 의한 부작용은 가볍고, 고령자나 장기장해(臟器障害)를 가지는 환자에도 응용가능하게 되었다.

□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기대

○ 이 줄기세포이식요법의 임상활용은 첨단 BT기술 분야의 국가 전략 기술로 발전시킨다는 목표에서 다음과 같은 보완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안한다.

○ 동종이식에서 진균감염증의 발생은 조혈줄기세포이식에서 발생되는 주요합병증이다. 이에 따른 부작용의 억제 대책은 곧 줄기세포 이식요법의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이 부작용의 방지기술은 첨단기술의 선진화를 위한 핵심 대책이 된다. 이를 위하여 우리의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방향을 설정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오염 균의 내성대책: Candida속을 중심으로 하여, 아졸의 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것은 80년대 후반부터 AIDS환자에 대한 구강인후(口腔咽喉) Candida증의 예방에 대한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 진균제의 예방투여량의 타당성에 관한 정보는 거의 없는 형편이므로, 종래의 골수 파괴적 이식에는 예방투여가 권장되었다. 어떠한 약제도 최적예방투여량을 검증하기위한 임상시험은 행하여지지 않고, 치료와 동량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아직까지 불확실한 진균감염증의 치료와 예방에 필요한 투여량이 각 오염 균과 치료경과에 따라 다를 가능성이 있어, 부작용대책, 경제성을 고려한, 적절한 투여량 설정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Masahiro Kami ; Osamu Imataki ; Shuichi Taniguchi ; Mineo Kanemaru (etc.)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45(4)
잡지명
일본의진균학회잡지(J606)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89~202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