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젤차 배기 미립자 위험 평가의 동향 : 평가 검토회 보고에 대하여

전문가 제언
□ 건강위험평가란 유해성 물질에 대한 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외적 인자가 현재 또는 장래에 발생될 폭로조건에서 건강에 미칠 확률을 추측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다. 현재까지 수집 가능한 모든 과학적 데이터 즉 국내외의 역학, 모델 및 동물폭로 실험자료 등을 검토 · 비교 · 연구 평가해야 함은 물론, 대부분 외국자료들이며 또 불확실성이 많으므로, 우리의 실정에 맞는 직업 폭로자 들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역학 연구와 새로운 모델도 개발해야 한다.

□ 디젤엔진의 배기(DE)에는 연료 · 윤활유 등의 불완전연소 생성물, 열분해 생성물 등이 집합 · 응집된 입자상과 복잡한 가스상의 유 · 무기성분이 함유된 100여종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PAHs와 그 니트로화합물은 발암성과 변이원성 및 유전자(DNA)를 손상시키는 유전자독성이 있는 독성물질로 판명되었다.

□ DE 중 0.3~3㎎/㎥에서 장기폭로 되면 기도염증, 알레르기성 천식, 비염증세를 일으키고, DEP 0.1 ~0.3㎛크기의 미세먼지 10~20%는 폐에 침착되어 폐종양과 폐암을 유발시킨다. DE 중 농도가 10㎍/㎥가 증가하면 폐암 사망자 수는 8%증가하며, 특히 DE 0.3㎎/㎥농도에 장기 폭로되면 남성호르몬이나 항체형성호르몬에 작용하여 정자생산 능력이 저하된다는 보고도 있다. WHO의 발암 영향에 대한 BC는 2~14 ㎍/㎥, TDI는 2.3~5.6 ㎍/㎥를 도출하고 있다.

□ 일본의 대도시 도로변의 DE는 12~18㎍/㎥, PM2.5기여도 18~48%, 비 도로변은 2~8㎍/㎥, PM2.5기여도 7~36%정도로 조사되었으나, 2003년 10월에 시행된 디젤차 운행규제실시 후 도로변 오염농도가 많이 감소되고 있음을 참고로 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하겠다.

□ 자동차배기의 미세먼지(PM2.5) 문제가 심각해져 가고 있는데, 금년부터 디젤승용차 판매가 허용되어 심히 염려스럽다. 디젤이 휘발유엔진 보다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고 CO2의 발생량을 20~30%이상 감소시킬 수 있어, 초저연비 디젤엔진개발에 경쟁을 하고 있다. 저렴한 Hybrid car등 의 개발 · 보급으로 환경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한다.
저자
Yokoyama 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9(6)
잡지명
Journal of Japan society for atomospheric environment(E13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5~108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