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열을 이용한 혼합연료 생산과 상업화(Solar Hybrid-Fuel 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Scenario)
- 전문가 제언
-
□ 지금까지의 화석 에너지 중심에서 수소 에너지 등 저공해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개발과 에너지구조 개편, 산업구조 조정 및 인프라 구축 등으로 기존 화석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경제체제 즉, 저공해 · 무한 에너지원이 중심이 되는 `수소경제체제`로의 전환이 불가피한 현실이다.
□ 이에 따라 산업자원부에서는 2005년도 청와대 업무보고를 통하여 석유 중심의 경제체제에서 수소경제체제'로의 전환에 대비한 국가 차원의 전략으로 오는 2040년께가 되면 모든 연료체계와 산업체계가 수소경제 체제로 이뤄지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 일본의 60~70% 정도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수소에너지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 수소에너지사회 구축을 위한 한 방법으로서는 선벨트(sun-belt)지역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천연가스나 석탄으로부터 SHF를 얻는데 있다. 또한 수소에너지사회의 구축을 목표로 한 후기 공업화사회를 지속 가능한 사회로 전환시키기 위한 저공해 연료(green-fuel)의 보급과 저공해 시장(green-market)의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Yutaka TAMA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83(932)
- 잡지명
- 일본에너지학회지(M3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982~987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