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열 삼중발전(Solar Tri-Generation)

전문가 제언
□ 본 태양열 에너지의 삼중발전 시스템의 개념에 관한 연구는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의 발굴과 지구 온난화 과제에 대처하여야 하는 지금, 청정에너지의 활용 차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것이라 하겠다.

□ 지금까지의 태양열 이용은 열에너지로 바꾸거나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쓰는 두 가지 방법이 일반적이었으며, 두 가지를 동시에 달성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주택 등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여기서는 세 가지의 에너지 형태로 전환시켜 태양열 에너지를 보다 더 유효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이 삼중발전 방법을 실현하는 시스템을 저온형과 고온형으로 구분하여 전개하였으며 고온형의 경우 천연가스, 석탄, 바이오매스 등을 매탄올로 전환하는 방안에 수소 연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미래형 대체 에너지 개념을 세우고 있다. 또한 일본의 해양성 기후로 인하여 일조량(日照量)이 적고 태양열이 강하지 못한 점을 들어 고온형 시스템의 구현을 해외에서 실현되어야 적합한 프로젝트로 언급하고 있다.

□ 삼중발전도 에너지활용의 다양성 확보의 일환이다. 태양열을 타 에너지원과 함께 다양하게 이용한다는 것과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느냐, 또 얼마나 청정하게 이용할 수 있느냐가 태양에너지 활용 차원에서 보아야하는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 21세기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에너지 확보와 깨끗한 환경을 후손들에게 물려주는 것이다. 일본은 이미 태양전지 기술에서 앞서 가고 있는 바, 대체 청정에너지 분야에도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어 우리를 자각 하게끔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외국 의존도가 너무나도 높다. 본 연구에서 언급된 재생가능 에너지 외에도 유럽에서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풍력의 경우 한국도 풍부한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력(潮力) 또한 우리가 갖고 있는 유리한 자원으로 사료되는 바, 이들을 청정하게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Tadayoshi TANA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83(932)
잡지명
일본에너지학회지(M371)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70~974
분석자
김*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