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기억합금 운동기구를 응용한 인공식도개발(Development of the Actuator for the Artificial Esophagus, Which Can Drink Food, by the Use of the Shape Memory Alloy)
- 전문가 제언
-
□ 인공장기의 개발이 시작된 이래로 시스템의 소형, 경량화는 극복해야할 가장 큰 과제 중의 하나다. 인체는 기본적으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여분의 공간을 갖도록 진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체내에 매립되는 인공장기는 가능한 한 소형이며 경량일 것이 요구되며, 나노테크놀로지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테크놀로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 국내에서는 매년 많은 수의 식도암환자가 사망하고 있다. 식도암은 수술이 매우 어렵고 식도의 재생이 불가능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인간의 식도에서는 연동운동에 의해서 음식물을 삼킬 수 있어, 단순한 파이프로는 식도를 대체할 수 없다.
□ 일본에서는 공간활용도가 높고, 매립 가능하고, 인체의 연동운동(蠕動運動)을 모의한 인공식도의 개발에 성공하여, 세계에서 처음으로 동물 실험에 성공하였다.
□ 개발된 인공식도는 고분자물질과 인공연동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기억합금 링에 생체흡수물질이 사용되고, 나노테크놀로지로 분자결정의 배열을 하여 내구성이 증진된 형상기억합금의 섬유로 코일이 만들어졌다.
□ 형상기억합금에 의한 운동기구(actuator)와 생체흡수성 재생의료소재, 인공장기공학기술을 조합함으로써 음식물을 삼킬 수 있는 새로운 인공식도가 개발되어, 식도암의 수술전망에 큰 희망을 갖게 되었다. 특히 카테터(catheter)에 의한 식도암수술로 수술시간이 단축되고, 침습이 작아 고령자나 호흡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수술이 가능해졌다.
- 저자
- Tomoyuki Yambe ; Yoshio Hori ; Makoto Watanabe ; Yasuyuki Shiraishi (et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12(2)
- 잡지명
- 일본AEM학회지(J71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94~99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