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디자인의 역할과 방법(Robot as Product Design-The Role and Method of Robot Design)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산업 디자인과 스타일링은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양극화되어 있는 경향이 더 강하다. 이에 로봇의 세계에서는 어떠할지 살펴보면 실제로 산업용 로봇 이외의 시장은 아직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도 않다. 가까운 미래에 자율형 로봇이나 상업용 로봇 산업이 확립되어 인프라로서 시장에 확고한 지위를 구축했을 때에는 스타일링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오늘날은 아직 그 단계엔 이르지 않았고, 지금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은 스타일링이 아니라 로봇이 실제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디자인을 표현해야 하는 것이다. 즉, 로봇이 어떤 목적으로 그 곳에 있는가를 입증할 수 있는 디자인이어야 한다.
□ 로봇과 같이 아직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산업에서는 개발의 목적이나 목표가 없으면 프로젝트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을 할 때 연구가 무엇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가 정해지지 않으면 프로젝트 구상마저 진전되지 않으며, 디자인 등도 예외는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목적이 결정되면 디자이너적인 발상이 개입하게 되면서 프로젝트에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로봇 개발에 있어서 풀(pull)형 수법이 유효하다는 것은 개발에 여러 전문직의 협력이 필요하며, 다함께 비전을 공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로봇 개발에 있어서 기본계획에 디자이너가 참여함으로써 풀(pull) 수법적 개발을 유효하게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 오늘날 주목되고 있는 로봇 산업은 21세기의 일본이 세계를 리드하는 거대시장을 제압하기 위해 기대를 모으고 있는 분야이다. 일본은 이러한 시장성이 있는 로봇 개발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는데, 특히 마네킹형 로봇의 시장동향을 세계 각국의 어패럴 숍(apparel shop), 스포츠메이커, 보석점 등 이미 마네킹이 진열되어 있는 장소는 모두가 시장이 될 것이며, 앞으로 수주솜씨 여하에 따라 상당수의 마네킹형 로봇을 제조 및 판매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저자
- Tatsuya Matsu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22(8)
- 잡지명
- 일본로봇학회지(N2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986~995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