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용 트랜시버의 아키텍처기술 동향(Transceiver Circuit Techniques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 전문가 제언
-
□ 최근 아날로그 IC 설계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지털 IC와 아날로그 IC를 하나의 칩으로 만드는 SoC설계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 IC와는 달리 아날로그 IC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표준화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에 따라 별도의 회로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설계된 회로를 반도체 칩으로 집적화하는 기술도 중요하다.
□ 집적화할 수 있는 회로에는 증폭기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 필터회로, A/D 또는 D/A 등의 변환기, PLL 및 DLL회로, 구동회로, RF회로 등이 있다. 이 회로들은 단일 IC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시스템과 함께 SoC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 트랜시버를 구조에 따라 분류하면 수퍼헤테로다인 방식, 직접변환방식(Zero-IF), 저 중간주파수방식(Low-IF)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트랜시버의 구조를 선택할 때 시스템의 규격 및 주요 특성, 소자에 의한 주요 성능, 칩의 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선택해야 한다.
□ 트랜시버의 아키텍처기술은 현재 고집적화 및 소형화에 초점을 맞춰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발진회로, PLL 루프 필터회로, VCO 등 대부분의 회로가 IC로 집적화되고 있으며, 소형화를 위해 모듈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 저자
- Taizo YAMAWAKI ; Satoshi TANAKA ; Masumi KASAHARA ; Bob HENSHAW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87(11)
- 잡지명
- 전자정보통신학회지(A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52~957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