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경영에 대한 국제표준화 동향(Recent Movement on Standardization of Color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과거에는 폐쇄된 공간에서만 컬러 영상을 재현하였으나 오늘날 네트워크화와 정보의 디지털화로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점차 촬영시점에서부터 여러 분야에까지 컬러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컬러경영 표준화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영상기기에서의 색 재현성을 통일하기 위해 과거 기기 내의 기술규격 범위를 넘어 기기 내 혹은 미디어 간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 현재 국제적으로 컬러경영에 관한 표준화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이와 관련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제 컬러경영 표준화의 동향에 대하여 알아본다.
□ 특히, 일본에서의 컬러경영 표준화는 세계적인 수준이나 국내에서의 표준화는 아직 시작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에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정보공유가 보편화되고 비주얼세대가 소비의 주요 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제조회사들에게 색 일치 및 색 보정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재론하여 본다.
□ 색 관련 산업에서 국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국제적인 표준에 맞는 색 보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국내 업체들도 이들 색 보정 프로그램에 대해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 이를 위한 적극적인 국제 표준화활동의 참여는 물론 KS 규격화도 적극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Masao Aizu ; Tetsuro Kuwa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58(12)
- 잡지명
- 영상정보미디어학회지(A08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732~1736
- 분석자
- 박*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