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Fukuoka 지하철 3호선의 전기설비 개요(Total System of Fukuoka Subway Line No.3)

전문가 제언
□ 세계 최초의 지하철은 영국 런던에서 증기기관차를 이용한 6km의 구간으로 1863년 1월 10일에 개통되었으며, 전기철도방식은 1890년에 처음으로 탄생하였다. 유럽에서는 부다페스트(1896), 빈(1898), 파리(1900), 베를린(1902), 함부르크(1906) 등이 뒤를 이었고, 미국에서는 보스턴(1901)과 뉴욕(1904)에 지하철이 건설되었다. 이들 지하철은 오스트리아의 빈을 제외하고 모두 전기철도방식이었다.

□ 우리나라 최초의 지하철은 서울역과 청량리역을 잇는 서울의 1호선 7.8 km 구간이며, 1974년 8월 15일에 개통하였다. 대도시는 심각한 교통체증과 자동차 배기가스의 환경오염문제 등을 해결하고 에너지 소비감소와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해 대량수송과 신속한 수송 및 러시아워 수송이 가능한 지하철을 건설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막대한 건설비 때문에 적자경영이 불가피하여 커다란 재정적 문제점이 되고 있기도 하다.

□ 일본의 경우는 1927년12월 30일에 Tokyo의 Ueno(上野)와 Asakusa(淺草)를 잇는 2.2km가 최초의 지하철이다. 이 자료는 2005년 2월 3일에 개통된 Fukuoka(福岡)의 지하철 3호선(12km) Nanakuma(七隈)선의 기본특성과 전기 및 기계 설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Osaka, Tokyo, Kobe의 뒤를 이어 네 번째로 철륜식 리니어모터(linear motor)를 채택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으며, 역사와 차량의 설계에 「휴먼라인(human line)~인간과 환경에 좋은 지하철」이란 개념을 설정하고 인간중심의 지하철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 일본은 리니어모터를 사용하여 추진동력을 얻는 열차와 자기부상열차의 기술개발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데, 리니어모터 열차는 급가속 및 급경사 주행과 차량의 소형화 및 터널(tunnel) 단면축소에 장점이 있어 건설과 용지비용을 크게 삭감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상전도 흡인식의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하고 있고 상당한 기술축적을 이루고 있는데, 자기부상열차의 상용화 이전이라도 추진동력시스템으로 리니어모터를 사용한 경전철이나 지하철을 고려해 볼 여지는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가장 최근에 철륜식 리니어모터시스템으로 개통된 일본 Fukuoka의 지하철을 참고해 볼 수 있다.
저자
K. Koik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24(11)
잡지명
전기설비학회지(G088)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823~827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