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의 디자인이란(Robot as Product Design) : The Consider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Robot PaPeRo
- 전문가 제언
-
□ 퍼스널 로봇으로 개발된 ‘PaPeRo’는 화상 인식 기술과 음성 인식 기술을 중심으로 사람과 의사소통하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로서 가정용 로봇으로 활용이 예상된다. ‘PaPeRo’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세계관과 캐릭터라고 하는 것이 중요한 키워드인데, 여기서 세계관이란 캐릭터, 대사, 외관, 색채 등 모든 디자인 시험평가의 기준이 되는 커다란 뼈대를 형성한다. 그리고 캐릭터란 로봇의 성격 그 자체로서 외관이나 색채는 물론, 특기(기능), 행동 패턴, 움직임, 대사, 소리의 표현 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다.
□ 퍼스널 로봇인 ‘PaPeRo’의 디자인 개발에서는 가공(架空)사항으로서 세계관이나 캐릭터의 작성, 동적 요소로서 대사, 동작, 음성 등의 디자인, 기본 사양으로서 상호 작용적 적응 시나리오나 잡담․상담형 대화 등을 위한 아이디어의 제안과 설계와 같이 창조적 활동과 분석적 정보의 구조화, 그리고 시간축의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그 능력을 발휘하였다.
□ 퍼스널 로봇으로 시제 개발된 ‘PaPeRo’를 이용하여 인지과학, 사회학, 심리학, 철학 등의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에는 인지과학적 접근, 임상심리/발달과학적 접근, 상황론적 접근, 정보 디자인적 접근에 의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로부터 사람과 로봇과의 관련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할 때, 사람이 로봇을 어떻게 포착하는지, 가족 등 사회조직에 있어서 로봇 역할 · 위치를 어떻게 부여하는지, 그리고 로봇 생산자로서 설계 프로세스와 윤리적 과제추출을 어떻게 검토할 것인지 하는 등이 검토되었다.
□ 파트너형 로봇의 연구개발에서는 사람과 로봇과의 대화 실현이 중요한 연구 테마 중 하나로, 특별히 목적 수행으로서의 대화가 아니라 말상대로서 엔터테인먼트적인 측면의 대화가 앞으로 중요시될 것이다. 그리고 인공물로서의 로봇이 캐릭터를 가지고 그 가치관에 따라 접촉해 올 것을 감안할 때, 디자인 프로세스 및 수법의 확립, 디자인 프로세스와 정합성(整合性)이 높은 개발 환경의 충실화 및 로봇 아이디어의 육성과 그 커리큘럼의 검토 등이 앞으로의 해결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Junichi Os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22(8)
- 잡지명
- 일본로봇학회지(N2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74~978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