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TFE의 탈 불소화에 의한 다공질 탄소의 제조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의 응용(Preparation of porous carbon by defluorination of PTFE and its application to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전문가 제언
□ 최근, 세공(細孔)이 발달한 높은 비표면적의 활성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활성화제에 의해 탄소체의 표면을 활성화하는 방법(부분 연소법)에서는 원료 중의 대부분의 탄소가 소실(燒失)될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큰 세공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전통적인 활성화법과는 전혀 다른 개념의 활성탄 제조법, 예를 들면 주형법(鑄型法), 폴리머 블랜드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 최근, Y. Yamada 등은 종래의 활성탄 제조법을 개선하는 수법으로 PTFE의 탈 불소화법을 응용한 방법 및 PTFE 대신에 질소를 함유한 플루오로카본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여 탈 불소화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다공질 탄소에 질소가 함유되도록 하는 방법 등의 개발에 의해 원료의 가스화에 따른 탄소의 소실 방지뿐 아니라 균일한 중규모 기공의 제어가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의 전개가 기대된다.

□ 다공질 탄소의 응용면에서는 종래부터 탄소 표면의 흡착․분리 기능을 이용한 각종 환경오염 물질의 제거 재료 및 분리 재료가 주류이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의 저장이라는 관점에서 메탄이나 수소의 흡장 매체(吸藏媒體)로서, 또는 전기를 축적하는 2차전지용 부극재(負極材)나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되고 있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용 전극으로의 응용전개가 전망된다.

□ 탄소 재료는 경량이면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른 균일한 세공과 분포를 갖는 다공체를 제조하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로의 확대가 가능하다.

□ 과학기술부가 후원하는 이 달의 엔지니어 상(2005년 3월 상)의 수상자로 선정된 코칩(주)에서 개발한 EDLC는 국내 최초로 활성탄과 금속산화물을 혼합한 다공질 탄소 재료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정전용량을 기존 제품에 비해 30% 향상시킴으로써, 향후 세계의 고성능 축전지 시장의 판도 변화가 기대된다.
저자
Yoshio Yamada ; Osamu Tanaike ; Soshi Shirai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15)
잡지명
탄소(M021)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85~294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