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 관련 과학 기술의 장래 -나노기술에의 도전-(Future Prosp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dhesion : Nano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일본접착학회 창립4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접착의 과학과 기술의 장래를 생각한다."라는 주제로 광범위한 대상에 대한 고찰이다. 따라서 단순히 점 · 접착에만 국한하지 않고, 최첨단 기술인 수소에너지를 이용하는 연료전지의 계면의 미묘한 접착문제, 접착제에서 고분자 혼합 시에 나노크기의 구조가 보여주는 성질 등 넓은 재료를 갖고 소개했다.
□ 최근 십수 년 간의 과학과 기술의 역사에서, 한 예로 컴퓨터의 처리속도와 기억용량의 발전은 가히 혁명적인 변화라고 부를 때에 전혀 손색이 없다. 이렇게 급변하는 기술의 수준이 재료의 변화에도 적용되어, 탄소나노튜브나 분자이용 컴퓨터의 실현 가능성을 엿보게 하며, 특히 새로운 물성을 얻기 위한 나노크기에 대한 연구가 가속을 받고 있다. 과학의 과거에 비추어 나노기술의 개화도 매우 빠르게 진전이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도 이 분야에 많은 기술이 있으므로 앞날이 기대되는 바이다.
□ 특히 나노기술은 산업의 각 분야에 모두 필요로 하는 기술이므로, 기업은 기업대로 핵심 사안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 가지 제안을 하고 싶은 것은 기업은 각자의 과제를 수행할 수밖에 없어도, 각 산업을 대표하는 협회를 중심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공동 기술을 연구하여 개별 기업에 보급하는 일을 국책 사업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Yoshihisa K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12)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99~607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