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무의 결정구조(Crystal Structures of Rubbers)

전문가 제언
□ 인장이나 압축을 가할 때 고무의 가역적인 신장과 수축은 금속의 탄성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금속의 탄성계수는 온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지만 고무는 온도에 거의 비례한다. 이러한 현상은 고무의 탄성구조가 금속의 탄성구조와는 아주 다르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 고무는 긴 사슬 모양의 고분자로 되어 있고 긴 사슬의 각 부분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고무의 늘어난 상태는 처음의 상태에 비해 엔트로피(S)가 감소된 상태임으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상태로 이행하려 하는데 이것이 고무의 탄성력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엔트로피의 감소가 탄성력의 원인이 되는 탄성을 엔트로피 탄성이라 한다.

□ 고 cis 부타디엔 고무(BR)는 cis-1,4 결합이 96%이상으로 입체규칙성을 가진다. 반발성이 크고 투명성과 내마모성 및 내 노하성이 우수하며 내부발열이 작은 장점이 있으나 가공성과 내열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저 cis 부타디엔 고무는 trans-1,4 결합이 50~70%, cis-1,4 결합이 10~35% 포함된다. 고 cis BR과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지며 플라스틱의 내 충격성이나 저온특성 개량에 많이 이용된다.

□ 고분자의 결정구조 해석은 간단하지 않고 저분자 단결정과는 달리 섬유상 시료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렵고 천연고무 결정구조조차 연구기간이 오래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최근 더 자세히 밝혀진 천연고무와 cis-1,4-폴리부타디엔의 결정 구조 해석을 설명하고 아울러 섬유고분자의 결정구조 해석에 대해서도 최근의 측정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저자
YASUHIRO TAKAH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0(12)
잡지명
섬유학회지(FIBER)(C07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61~565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