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 기술의 과거와 미래(Dyeing : Its Past and Future)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1960년대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국가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현재 섬유업계 세계 시장 점유율 5위를 차지하고 있는 섬유 강국이다. 시장은 중국이 중저가 제품, 한국은 고가 제품을 주로 공략하고 있다. 기술면에서도 고급 소재, 고기능 첨단 섬유를 자체 기술 개발로 생산하고 있어서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이며, 무역 흑자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 인간이 아름답게 꾸미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BC 2000년부터 이미 쪽 염색을 해 왔으며, 합성염료는 1856년 영국의 W.H. Perkin이 보라색 염료인 모브를 발명하면서부터이다. 이 염료의 합성 기술은 폭약, 향수, 사진, 플라스틱 등 발명을 촉진하였으며, 19세기말을 화학의 시대라고 표현할 정도로 화학 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 현재 염색산업에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역시 염색 배출수 처리 문제이다. 염색산업에서는 타 산업에 비해 물을 많이 사용하여 잔유염료로 인한 오염도가 심각하다. 우리나라 전체 폐수 발생량의 21%가 염색 폐수인 점을 감안하면 그 대책이 시급하다. 다행히도 미생물을 이용하여 80% 이상 정화(기존은 60% 수준)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이산화티탄늄(TiO2)을 이용 광촉매에 의한 처리방법을 국내 기술진이 개발하여 박테리아가 분해하지 못하는 염색 폐수도 완전 분해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되어 향후 이 분야에서도 많은 변화가 기대된다.
□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염색 산업 기술이 성장해온 과정을 섬유의 개발, 각종 염료 및 염색방법 개발 과정을 통해서 상세하게 정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염색 산업이 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도 제시하였다.
- 저자
- TORU TAKAG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60(11)
- 잡지명
- 섬유학회지(FIBER)(C07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13~518
- 분석자
- 오*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