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페리를 이용한 해양관측 개발 및 일본근해에서의 유해화학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관측(Development of marine environmental observation platform deployed on ferryboats, and observation of marine pollution with hazardous chemicals in coastal region of Japan)

전문가 제언
□ 이 글에서 지적하였듯이 해양환경의 유해화학 물질에 의한 오염문제는 바다자원이 인류의 식생활에 기본적으로 중요한 식(食)자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산성비 문제나 지구온난화 문제 및 성층권의 오존층파괴와 같은 굵직한 환경논쟁 거리에 결코 뒤지지 않는 환경재앙을 가져올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는 특히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관계로 수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국민소득 면에서 과소평가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고 앞으로도 보호 장려해야 할 분야라고도 할 수 있으며 환경특성상 한번 파괴되면 해양의 경우는 인위적인 복원이 매우 어렵고 장기간이 요구되는 난점이 있음도 이해해야 할 것이다

□ 이미 한국해양연구원에 의해서 서해안에서 1998년경부터 여객선에 측정 platform을 설치하고 인천과 제주간의 해양오염과 관련된 기초측정을 계속적으로 해오고 있음은(청해진호에 의해 시행하다 금년부터는 2,500톤급의 오하마나호가 인천-제주 간을 주 3회 왕복하므로 여기에 측정소를 설치운영하고 있음) 퍽 다행으로 생각하나 해양연구원 실무자의 바람이 있다면 페리선사 및 종업원들의 우호적인 인식과 협조가 절실하고 유지관리에 대한 예산의 증액이 요청된다는 점이라고 한다.

□ 우리도 최근에는 금강산을 오가는 여객선과 부산-제주, 부산-여수항로에도 이러한 해양관측 platform을 선별적으로 설치하여 우리의 연근해 어장의 해양생태 환경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관측하고 관측결과를 해양보전과 해양개발 등에 적극 활용하도록 하기 바란다.

□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연근해 해양환경의 오염실태를 관측하기 위해 여객선을 이용한 시공간적인 측정에 관한 필요성과 몇 개의 여객선 노선에서의 유해화학 물질 및 해양환경의 기초 자료를 측정한 보고로 우리나라의 해양담당 부처 및 관련된 연구소의 연구자들이 참고하여 우리의 측정노선 확장에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저자
Masayuki Kunugi ; Kazuo Fujimori ; Takeshi Nakano ; Akira Harashima1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53(12)
잡지명
분석화학 (A017)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75~1387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