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접촉 프린팅(Microcontact Printing)
- 전문가 제언
-
□ 마이크로 접촉 프린팅법은 1993년, A. Kumar와 G. M. Whitesides가 개발한 미세구조 제작법의 하나로서, 스탬프의 반복 사용이 가능한 방식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 스탬프의 재료는 욕조의 누수방지에도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PDMS)이며, 2종류의 용액을 혼합하여 고화(固化)시키면 적당한 유연성을 갖게 되어 복잡한 구조의 인쇄에도 적용 가능하다.
□ 향후, 마이크로 접촉 프린팅법의 응용전개는 미세구조 제작기술의 기술적 발전과 그에 따른 바이오 시료에의 적용, 유기 전자소자에의 적용 등, 응용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바이오 분야에의 응용은 시약, DNA, 효소, 세포 등의 패터닝에 이용되며, 유기 전자소자에의 응용은 패터닝한 분자 박막을 레지스트(resist)로 한 에칭 및 패터닝한 촉매를 이용한 전극 등의 성장, 능동형 유기 반도체 층의 제작 등, 폭넓은 연구가 예상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8월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최인성 교수팀과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팀은 포자표면 발현기술과 마이크로 접촉 프린팅 기술을 접목시켜 나노바이오 센서의 원천기술을 개발하였다.
○ 이 기술은 탄저균 등, 생물학전 무기로 사용되는 각종 병원균과 암 등의 질병진단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Masamichi FUJIHI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1(5)
- 잡지명
- 일본인쇄학회지(J6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61~278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