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구조 모델의 진화와 효용(Progress and effectiveness of structural models of carbons)

전문가 제언
□ 나노기술은 기존의 과학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기술로서 원자, 분자수준의 구조제어에 의해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고기능성을 가진 신물질이나 신소재를 창출하는 원동력으로서 기대된다.

○ 특히, 탄소재료는 21세기에 기대되는 나노기술의 대상재료 및 물질로써, 탄소재료의 3차원적 구조제어 기술이 고기능성 소재 창출에 있어서 도전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 I. Mochida 등은 최신의 첨단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탄소재료의 3차원 구조 모델의 구축과 그것에 근거한 구조와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는 탄소재료의 나노, 메조, 마크로 구조의 생성 메커니즘 및 각각의 용도에 따른 적절한 탄소구조의 설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최근, 탄소섬유의 일종인 탄소 나노튜브는 우수한 전기 및 기계적 특성이 이론 및 실험적으로 증명됨에 따라 에미터, 디스플레이, 2차전지, 연료전지 및 고기능 복합체 등으로의 응용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탄소 나노튜브의 합성과 응용에 관한 연구는 선진국에서도 아직 초기단계로 미개척 연구개발 분야가 많은 상태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탄소 나노튜브 분야의 연구에 집중적으로 노력하면 가까운 장래에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공정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를 나노기술 개발에 접목하여 응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나노기술은 여러 분야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융합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연구 효율성을 위해서는 산학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완전히 밀착되어 연구개발 내용을 상호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Isao Mochida ; Seong-Ho Yoon ; Seong-Yop Lim ; Seong-Hwa Hong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215)
잡지명
탄소(M02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4~284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