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신 염색가공기술의 동향(The Current Development of Dyeing and Finishing Technology)

전문가 제언
□ 섬유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익히 알고 있듯이 섬유제품은 중간 단계에서는 거의 유사한 단계를 거치며 비슷한 형태로 마루리가공의 공정으로 이관되지만, 이 마무리가공의 차이에 따라 제품의 기능과 촉감 등에 근본적인 차이가 유발되는 아주 중요한 공정으로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인 경우도 중국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섬유산업을 이관하면서도 본 마무리가공만은 이관을 하지 않으려 했으나, 결과적으로 이 부분이 지켜지지 않으며, 섬유산업이 개도국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 염색가공은 염료의 잔욕(殘浴) 및 화학약품, 에너지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환경친화형으로의 전환이 매우 필요한 부문이다. 본고에서 소개한 액류에서 기류방식에 의한 염법,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염법, 전기화학 염법 등 혁신적인 공법은 서서히 상용화에 접근하여 그 응용의 폭을 넓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부가가치를 최대로 높이는 각종 기능성을 부여하는 코팅에서는 과거의 코팅에서 핫멜트 공법으로 이행이 잘 진행되고 있고, 투습방수가공에서도 코팅에서 핫멜트로 이동이 진행 중이다.

□ 가장 큰 문제는 여기에서 소개한 새로운 개선 공법은 어느 정도의 시설 보완을 통하여 접근이 가능하나, 혁신적인 공법은 새로이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물론 최근에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하드와 소프트웨어가 모두 공급이 가능하므로 연구 개발을 그 분야에 많이 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으나, 우리나라인 경우는 섬유산업의 업스트림이 무너지는 상황이므로 과연 다운스트림인 가공 분야의 새로운 설비의 증축이 가능할 것이냐를 잘 살필 필요가 있다.

□ 마지막으로 혁신적인 여러 가지 가공법 중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술은 대량, 획일적인 생산이 아닌 니치 마켓형이므로 기술적인 가능성을 좀 더 숙고하면, 대규모가 아닌 부가가치형의 중소 규모 사업으로는 매우 적절하므로 이러한 분야에 관심을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저자
AKIRA YONENAG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0(11)
잡지명
섬유학회지(FIBER)(C07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24~529
분석자
임*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