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점막상피에서 사이토카인 유도에 대한 Helicobacter pylori 병원성인자의 역할f(The roles of Helicobacter pylori virulence factors on induction of cytokines from gastric epithelial cells)

전문가 제언
□ H. pylori는 1982년 호주의 Warren과 Marshall에 의해 처음 발견 후 사람의 위점막에 장기간 서식하면서 만성 위축성 위염, 십이지장궤양, 위궤양을 비롯하여 위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위 · 십이지장 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과거 소화성 궤양의 발병원인이 acid-pepsin의 공격인자와 점막 방어간의 불균형으로 설명되어 왔으나 H. pylori의 발견은 소화성궤양의 병인론과 발병기전에 대한 이제까지의 개념을 크게 변화시킨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들 질환의 치료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았다.

□ H. pylori가 위염, 위 · 십이장궤양, 위암과 같은 위장질환의 원인균으로 확인되면서 이 세균에 대한 많은 연구논문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표되었다. 특히 이 세균의 미생물학적 특성, genome 분석연구,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에 의한 발병기전, 진단 및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보고가 1983년 Warren과 Marshall에 의해 처음 발표된 이후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되어 1997년 이후에는 거의 매년 1000건 이상의 관련 연구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 H. pylori에 감염되어도 대부분은 아무런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일부분의 감염자에서만 소화성 궤양 등의 질환이 발생되는데, 그 확실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균주의 특이성, 위염의 분포상태, 위산분비의 정도 및 위점막 위축 등이 상호 작용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포사멸(apoptosis) 및 증식(proliferation)이 H. pylori 관련 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란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 H. pylori의 병태생리에 관한 다양한 병인론이 검토되고 있으며 특히 위점막에서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 및 조절에 대한 역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위점막에서 사이토카인의 역할은 Th1/Th2 사이토카인을 매개로 한 면역응답,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염증유도, 특히 IL-1β를 중심으로 한 위산분비 억제작용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예상외로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Yoshio YAMAOK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59(4)
잡지명
일본세균학잡지(E264)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31~541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