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1에 의한 세포사의 제어기구(Regulatory mechanism of cell death through ASK1)
- 전문가 제언
-
□ 포유류의 MAP키나아제 경로는 주로 ERK, p38 및 JNK의 세 가지를 경로로 하여 각각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세포내 환경 변화 등을 세포응답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이것의 상류(上流) 제어분자인 MAPKKK 수준에는 많은 분자가 존재하며 다양한 자극에 대응하며 하류(下流) MAP키나아제 경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역할 분담이 좀 더 구체화 되였으면 한다.
□ 시토크롬C(CytochromeC)의 기능은 생체막상(生體膜上)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다양한 생육형태를 갖고 있는 미생물은 시토크롬C가 다른 전자전달단백질(電子傳達蛋白質)과 상호작용하며 여러 가지 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전자를 끌어내어 에너지를 얻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반응 기구를 입체구조 정보와 결합한 연구가 요망된다.
□ 시토크롬C 등의 전자전달 단백질에 한 분자 조작기술을 적용하여 생체분자기능을 조합시킨 에너지 변환장치를 창출한다든가 생물기능을 미생물뿐만이 아닌 식물 및 동물에서도 이용하는 새로운 에너지 생산기술의 확립이 요망된다.
□ TRAF2는 TNF신호 및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공통으로 ASK1 활성화 분자의 기능을 갖는데 CaMKⅡ는 칼슘 자극으로 ASK1의 활성화를 지휘하여 증식인자로부터 생존 신호에 의한 ASK1 활성화를 억제하고 또한 ASK1을 개입시켜 세포사를 억제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앞으로 이 부분의 좀 더 깊은 연구가 바람직하다.
- 저자
- Yoshiko Komuro ; Kohsuke Takeda ; hidenori Ichij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76(11)
- 잡지명
- 생화학(A01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58~1462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