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후각 수용체는 코 이외의 조직에서 작용하고 있는가?(Function of olfactory receptors in non-olfactory tissues)

전문가 제언
□ 최근 후각(嗅覺)연구의 진전은 괄목할 만하여, 후각 수용체의 후상피에 있는 역할의 대부분은 밝혀지고 있다. 그것에 반하여 다른 조직에서 발현하는 후각 수용체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다.

□ 이번에 소개된 정소 후각 수용체는 정자의 주화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나, 냄새물질은 “휘발성을 가진다”고 하는 조건이 붙은 아드레날린(adrenalin) 등의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저분자 유기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serotonin)은 분변의 냄새인 인돌과 비슷하고 도파민도 마우스 후각 수용체 mOR-EG의 냄새 배위자인 오이게놀(Eugenol)과 유사한 구조골격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저분자 유기화합물이 GPCR에 의해서 수용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GPCR패밀리에 속하는 후각 수용체가 각 생체내의 저분자 생리활성물질의 수용을 담당하고 있을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 후각 수용체는 후상피에 있어서도 냄새물질의 수용만이 아니고, 후(嗅) 신경세포의 축색(軸索: 신경돌기)의 투사형성에도 관여하고 있다고 한다. 다른 조직에서 세포분화 등의 조직형성에 관여하고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최근, GPCR패밀리의 약 반수, 즉 전 유전자의 1%를 점유한다고 알려진 후각 수용체의 후상피 이외의 조직에서의 기능을 밝히는 것은 신약개발 분야를 비롯한 새로운 생명의료 분야의 발전을 위한 메커니즘 발견에 보다 중요한 분야가 될 것이다.

□ 앞으로, 후각연구로서 중요시된 칼슘 이머징(imaging:화상진찰)등의 방법과 그것에 의해서 얻어진 배위자 인식기구, Antagonism(앤태거니즘: 반대의 뜻) 등의 지식을 응용하여 난소를 비롯한 뇌 등의 non-olfactory(비 후각)조직에 있는 후각 수용체 연구의 진전을 통한 새로운 생명공학의 발전이 구축될 것을 확신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국제적 첨단 기술의 발전에 늦지 않도록 깊은 관심이 있기를 바란다.
저자
Nanaho Fukuda ; Kazushige Touh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76(11)
잡지명
생화학(A015)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62~1466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