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전막 표면의 전기화학적 성질(Surfac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harged Membranes)

전문가 제언
□ 제타(ζ)포텐샬(electrokinetic potential, 界面動電位)은 고체와 액체의 계면에서의 전위차에 따라 계면 동전현상이 유효하게 작용하는 부분으로 운동전위라고도 말한다. 계면에는 전기이중층이 형성되어 액체와 고체의 사이에 상대운동이 일어나면, 고착상(固着相)은 고체와 함께 움직이므로 이때의 계면 동전현상을 지배하는 것은 고착상과 액체내부의 전위차가 된다.

□ Electrokinetic 측정은 멤브레인과 용액의 계면에서 존재하고 있는 여러 가지의 하전의 특성을 파악하기위한 중요한 방법이 되는데, 고분자막의 표면에는 화학 관능기, 모노머등 제막공정과 용액중의 이온이 흡착한 것 등으로 여러 가지의 하전기(charged radical)가 존재한다.

□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분리막이나 생체 적합성재료의 표면특성의 전기화학적 성질의 확인에 중요하며, SEM이나 EDX같은 분광학적 표면 분석법보다 더 높은 감도를 보여주고 있다. 요즈음에 와서는 표면전하와 혈액적합성, 면역반응등과의 상관관계로 부터 생체적합성 재료표면의 특성화에 대해서 연구되고 있다.

□ 여기서는 양성하전(amphoteric charge)에 초점을 맞춰서 유속 하전측정에 근거한 하전막의 동전 특성화를 주목하여 기술하였다. 최근에는 나노 스케일 소재계면의 특성화의 분석수단이 될 수 있고, 나노 가공기술인 일렉트로스프레이 디포지션(ESD)법으로 제작하는 프로틴 칩의 센싱법 개발로 확대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Hidetoshi Matsu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9(6)
잡지명
막(A805)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45~349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