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적외선 FT-라만분광법에 의한 목재소재의 특성분석(Near Infrared FT-Raman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n Wood : Natural Complex Material)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일본 Kyushu 대학의 농학연구원에 근무하는 Toshihiro ONA박사가 일본 과학저널 「분광연구 제 53권 제 6호 (2004)」에 기고한 내용이다. ONA박사는 삼림과학에 대하여 저명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글은 110편의 참고문헌을 인용하여 Review한 내용이다.
□ 이 논문은 근적외선 FT-라만분광법(Near Infrared Fourier Transform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목재가 가지고 있는 화학성분과 세포의 조직을 정량분석하는 방법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목재의 성분과 세포조직에 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수행되어 왔으나 주로 습식방법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래서 시간이 걸리고 세포조직을 파손하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가 있었다. 저자가 제시하는 FT-라만분광법을 이용하면 재래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측면에서는 획기적인 진보라고 할 수 있다. 즉 FT-라만분광법으로 시료분석이 가능성함을 보여주고 있다.
□ FT-라만분광법은 간섭분광기에 의한 분광측정의 한 방법이다. 광도의 강도가 약하고 검출기의 효율이 높지 않는 적외선영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라만 스펙트럼은 적외선흡수 스펙트럼과 같이 분자내의 원자의 진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원리적으로는 적외선 스펙트럼과 같이 화합물의 정성분석에 이용된다. 라만선의 강도가 시료분자의 존재량에 그대로 비례하기 때문에 정량분석에 이용할 때는 적외선 흡수스펙트럼보다 편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라만 스펙트럼은 매우 약한 일종의 산란 스펙트럼으로서 측정하기에는 적외선 흡수스펙트럼보다 어렵다. 분광계의 구조도 복잡하고 값이 비싸다. 그러나 최근에는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라만분석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 한국에서도 유수한 대학연구기관에서 라만분광법을 연구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라기보다 하나의 아이디어 창출이기 때문에 주위에 흩어져 있는 분광기부품을 조립하여 근적외선 FT-라만분광을 이용한 수소결합에 유사한 각종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Toshihiro ON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3(6)
- 잡지명
- 분광연구(A00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41~353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