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광성 나노형광체의 액상합성과 발광특성(Liquid-Phase Synthesis, Photoluminescent Properties and Near-Future Prospects on Transparent Nano-Phosphors)
- 전문가 제언
-
□ 반도체 화합물이 보이는 발광특성은 연구 분야나 실용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학성질은 매우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어서 이를 이용한 응용분야와 소자의 개발에 있어 개발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ⅡB-ⅥB족 반도체 화합물을 중심으로 ⅢB-ⅤB족 반도체 화합물 및 그 외 산화물, 유화물, 질화물 등에서 개발이 되고 있는 데 재료 화합물의 발굴, 합성하는 방법과 조건, 특성을 결정지을 수 있는 분순물의 첨가,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 등이 아직은 기초적인 단계에서 진행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다 폭 넓은 연구 참여가 필요하다.
□ 반도체의 발광특성의 연구에서 높은 발광강도를 확보하는 재료의 개발과 제조법 기술의 향상도 중요하나, 입사되는 여기광의 효율을 높이는 일과 형광체에서의 발광효율이 광의 굴절이나 반사 및 흡수 등의 원인으로 손실되지 않도록 투명성을 높이는 일도 중요하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중의 하나가 입자의 나노크기화 하는 과제이다. 지금까지 진행하고 있는 연구의 해석을 토대로 앞으로 발전시켜 나아갈 연구개발 참여의 여지가 많다고 할 수 있다.
□ 나노입자에서는 광의 회절과 산란으로 인해 일어나는 광 손실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높은 투명성을 갖는다. 이 같은 투광성 나노형광체의 광학적 특징은 고체소자조명, 박판 디스플레이, 정보 안전, 진단의료, 인테리어 등에 활용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보다 새로운 응용분야를 개척하여 연구를 확산시키는 것도 가치 있는 일이다.
- 저자
- Tetsuhiko ISO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33(11)
- 잡지명
- 광학(G1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39~644
- 분석자
- 김*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