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색소, 금속산화물 복합 태양전지의 현황과 전망(Dye-sensitized solar cells as organic dyes/metal oxides hetero-junction solar cells : breakthrough and perspectives)
- 전문가 제언
-
□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21세기에 염려되는 지구 매장에너지의 고갈, 그의 대량소비에 의한 CO2 배출이 가속하는 지구 온난화와 그에 기인하는 이상 기상에 대처하는 연구개발이다. 특히 Si계 태양전지에 대체되는 태양전지 연구는 대중화 가능한 태양전지의 개발이며 에너지위기에 끊임없이 대처하고 있는 일본의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 이 연구문에서는 유기 박막 태양전지 혹은 bulk hetero-junction 태양전지의 하나로 볼 수 있는 색소증감TiO2태양전지(DSC)의 특징과 최근의 연구를 다루었다. DSC의 다공질 TiO2 전극에서 확산계수와 전자수명 측정으로 구하는 전자의 확산길이가 수μm로 길고 그 결과 전극 두께가 수μm의 다공질 전극의 사용으로 높은 변환효율을 얻었고 ruthenium금속을 갖지 않은 유기색소의 연구와 DSC에 사용되는 ruthenium 증감색소의 광 · 열 안정성을 소개하였다. 또한 이온성 액체를 전해질로 하는 DSC의 장기 광 · 열 안정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앞으로의 DSC연구를 전망하였다.
□ 태양광발전은 풍력발전과 더불어 재생가능 에너지의 대표적인 발전방식으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우리가 반드시 달성하여야 하는 CO2 발생 억제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이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에서도 태양광발전을 상업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하리라 믿으며 관심 있는 제현의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저자
- Shozo YANAGI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73(12)
- 잡지명
- 응용물리(A00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1509~1518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