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플라스마 프로세스 시뮬레이션과 TCAD(Numerical Simulation and Technology Computer-Aided Design of Plasma Processing for the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Microelectronic Devices)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마를 이용한 박막형성, 표면개질, 및 미세가공이나 박막제거를 플라스마프로세스라고 하는데, 플라스마 응용기술은 반도체디바이스나 마이크로머신 제조를 위시한 첨단공학 분야에서 꼭 필요한 방법이다.
□ 반도체플라스마프로세스는 이후에도 ①대구경기판에 대한 우수한 생산성, ②미세패턴의 가공성이나 박막특성, ③손상성, ④웨이퍼스케일에서 거시적인 균일성, ⑤칩 사이즈, 셀 사이즈 레벨에서의 미시적인 균일성, 등의 관점에서 부단한 기술개발 및 개선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프로세스반응가스의 지구환경문제에의 대응도 필수적이다.
□ 프로세스플라스마의 플라스마시뮬레이션에서는 계산기의 용량의 관점에서 반응입자의 종류가 적은 계통에서는 입자모델을 사용하지만 다수의 반응입자 종류와 반응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유체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 반도체플라스마시뮬레이션의 목적은 시뮬레이터에 장치파라미터를 입력하면, 여러 가지의 프로세스특성이 출력으로서 얻을 수 있는 형태이고, 장치파라미터를 변화시켜서 프로세스기능이 예측되고, 실제의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현상을 지배하는 장치파라미터 · 플라스마파라미터나 입자수송 · 반응과정이 해석되고, 반도체플라스마개발에 공헌할 수 있는 실용적인 TCAD에 도달된다.
□ 반도체플라스마프로세스 시뮬레이션기술의 발전에는 보다 고급이고 고속인 계산기와 더불어 시뮬레이션방법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가상프로세스라고도 말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과 실제의 반도체프로세스와의 부단한 비교에 의해서 시뮬레이션이 기초하고 있는 물리모델을 다듬어 나가는 것이 실용뿐만이 아니라 기초연구의 관점에서도 중요하고 유효할 것이다.
- 저자
- ONO Koui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80(11)
- 잡지명
- Journal of plasma and fusion research(N07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909~918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