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경제적, 보존적 및 환경적 목적에 대응한 야생 거대 초식동물의 관리(The management of wild large herbivores to meet economic,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전문가 제언
□ 분석자는 생태학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다. 다만 생물의 진화와 생물이 살아가는 동안 다른 생물과의 상호관계에 매우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본문을 분석하게 된 동기이다. 따라서 본문에서 분석자가 사용한 전문용어가 생태학에서 쓰는 용어와 다를 수도 있다.

○ 본문은 초식동물의 관리는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것은 인간이 규정한 경계(예 : 국경)를 초월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웃 경계와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 장기간의 개체 수 동력학 연구는 성비와 연령 클래스에 따른 솎아내기가 개체 수의 밀도와 회복기간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숫 사슴은 교미기간에 암사슴을 찾아 장거리를 이동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교미기간과 사냥기간이 일치하기 때문에 수놈은 그가 가장 많이 살아온 땅이 아닌 다른 곳에서 죽기 쉽다.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사냥철에는 일인당 세 마리까지 사슴을 사냥할 수 있다. 그 중 암놈은 한 마리만 허락된다. 따라서 세 마리를 다 채우지 못 했어도 사냥한 것이 암놈인 경우는 즉시 사냥을 중지해야 한다. 그 뒤에 또 암놈을 사냥할 확률이 있기 때문이다.

○ 그 밖의 좋은 예로 사향노루를 들 수 있다. 사향노루는 카자흐스탄에서부터 몽고에 걸쳐 살고 있는데 그 지역 주민에게 육류를 공급하는 원천이 되어 왔으나 충분히 종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였다. 그러나 그 뿔이 중국의 한약재로 시장 가치가 높아지자 수놈이 표적 사냥되기 시작하고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제는 멸종 위기에 있는 동식물 교역을 금지한 국제 협약에 따라 국제거래가 금지되고 보호가 시작되었으나 사향노루가 멸종되지 않으리라고 낙관할 수 없게 되었다.

○ 우리나라의 야생 동물도 비슷한 위기에 있다. 이미 늑대와 여우는 사라진 것 같고 그 밖의 야생동물도 개발로 인한 서식지의 상실과 밀렵의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음으로 대책이 시급하다.
저자
Gordon, IJ; Hester, AJ; Festa-Bianchet,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1(6)
잡지명
JOURNAL OF APPLIED E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21~1031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