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계면활성제에 의한 환경복원(Environmental applications for biosurfactants)
- 전문가 제언
-
□ 무차별 폐기물 투기와 폐기물처리, 처분장의 불완전한 운영에 의하여 토양이나, 지하수에서 ppb 단위로 유기화합물 또는 중금속이 검출되고 있으므로 공중보건을 유지하는 입장에서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요망되고 있다.
□ 토양복원을 위해 토양세척 및 플러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기화합물의 무기화(mineralization) 및 중금속 제거를 위해서 오염물질을 용해시켜야 한다. 계면활성제는 경계면에서 시스템의 자유에너지를 낮추는 방법에 의해 표면장력을 낮추고, 용해도, 세정력, 습윤력 및 발포용량을 증가시키므로 토양과 지하수오염을 복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계면활성제 중에서 생물 계면활성제가 합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생물분해력, 생물친화력이 높고 독성이 낮다. rhamnolipid, sophorolipid 및 surfactin이 생물 계면활성제로 보고 되어 있으나, rhamnolipid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복원현장에서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것이 기술과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다.
□ 복합물질의 분해, 생물 계면활성제와 오염물질 사이의 반응, 그리고 토양성분에 따른 제거시험 등이 차후 과제로 대두하고 있지만, 환경 분야 응용을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유해물질에 의한 토양, 지하수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에 의한 처리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처리효율, 환경 친화성 면에서 생물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오염물질을 기질로 하여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미생물의 개발이 긴요한 바, 오염물질에 의한 생물 계면활성제 개발이 기존 방법에 비해 진일보한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부 폐기물정책과, 국립환경연구원 및 환경관리공단 관계자와 더불어 미생물 판매 혹은 환경복원 관계인의 관심이 요망된다.
- 저자
- Mulligan, C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133(2)
- 잡지명
- Environmental Pol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3~198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