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유도 소멸의 과정(Mechanisms of disease-induced extinction)
- 전문가 제언
-
□ 보존생물학에서 질병은 모집단의 생명력에 위협으로 나타나며 질병소멸의 인자이다. 생태학분야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만들어온 질환 모델에서는 질병 그 자체만으로는 숙주집단의 소멸을 유도할 수는 없다고 제시한다. 특징적으로는 밀도-의존 전염의 직접 감염된 전문기생충의 결정모형에서는 질병은 항상 숙주 집단이 한계밀도 이하로 떨어지면 숙주가 소멸되기 전에 죽어 없어진다고 예측한다. 자연생태학의 기본으로 모두 깊이 새겨야 한다.
□ 요즈음 우리나라 산하에는 나무의 에이즈라는 특정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소나무 군락지가 한 지역적으로 말라죽는 것을 목격하고 있으며 안타까워한 적이 있다. 이는 공간-숙주 병원균에 의한 밀도-의존적 질병-유도 소멸 현상이 아닌가 하여 시급한 과학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 자연환경적인 이상변화로 어떤 병원균의 급작스런 일시적 증식에서 생기는 바다의 적조현상이나 동남아시아의 독감바이러스에서 인간의 에이즈에 이르기까지 무서운 질병확산의 현상을 자주 접한다. 질병-유도 소멸의 원인이나 또는 그 이전의 모집단의 피해가 되지 않았으면 한다.
□ 이론적인 통념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빈도-의존 기생충에 의해서 종이 멸종된 실험적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소멸과 질병생태학이 보다 이론적이고 실험적 근거를 가지고 바람직한 생태유지 및 환경관리에 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저자
- de Castro, F; Bolker, B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8(1)
- 잡지명
- ECOLOGY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7~126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