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보호구역 및 대양새상지-해양개체군의 공간적 규모와 관리

전문가 제언
□ 최근 범세계적으로 수산 보호 구역(Marine Protected Areas : MPAs)과 해양 보호 구역(Marine Reserves)을 설정하여 넓은 해역에 걸쳐 포획을 규제하고 어획을 제한하며 산란지와 성장지를 포함하는 생장지를 보호하고 있다. 그동안 남획으로 인하여 감소되었던 어종의 생물 자원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개체수의 밀도와 어종의 다양성도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어류 자원은 100~800% 증가하고 있다.

□ 이와 같은 보호 구역의 효과는 개체군의 생물학적 특성과 표적 생물종의 분산 능력을 조사·연구·분석하여 얻어진 종합적 연구결과이다. 이는 광대한 대양을 생장지로 하는 생물 종과 생장지의 규모가 작은 종을 구분하여 보호 구역의 규모를 조정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관리한 결과이기도 하다.

□ 우리나라의 해양 생물 자원을 보호·개발하기 위해서는 이 글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조사 연구 및 관리 기법을 참고하여 상업적 가치가 있는 어류, 극피동물, 연체류, 갑각류, 고래, 다랑어 및 오징어 등에 대한 우리나라 해역의 생장지 분포를 정밀히 조사하고 정주성과 이주성의 특성을 더욱 체계적으로 정밀히 연구하여 보호 구역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성체의 생장지 규모는 작은데 유생의 생장지는 큰 종은 다른 형태의 보호 구역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해양 생장지의 규모를 조사하고 해양 보호 구역을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양 보호 구역의 영향, 표지 부착 방류, 미량 화학, 개체군 유전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 학술적 기초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의미에서 제주도, 울릉도·독도 해역의 해양 자원의 연구와 보호·관리에도 유용한 기초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Palumbi, S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29
잡지명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1~68
분석자
이*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