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한 에어로졸의 평가(Current uncertainties inassessing aerosol effects on climate)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와 오존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로 기온상승 · 빙하해빙 · 해수면상승 · 엘니뇨현상 등 걷잡을 수 없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문제 등이 인류생존 활동을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 약20년 전부터 예측 못할 기후변화가 인도 등 동남아시아에 큰 재앙(연간140만 명 사망 등)을 주고 있다. 연무질(aerosol)이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제3의 환경물질로 인식되고 있다.
□ 연무질의 발생원은 화석연료 · 생물자원 · 생물연료의 연소, 디젤차, 광산, 유전, 황사, 산불 등에서의 탄소(organic carbon, black carbon) · 황산염 · 질산염 · 해염 및 먼지들이다. 미세입자(PM2.5)가 대기 중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 에어로졸은 입자크기 · 성분 · 형상 · 지역 · 위치 · 수분에 따라서 열역학적 · 광학적 특성차이가 심하여, 기후에 영향이 있는 것은 분명하나, 고도가 높고 공간이 광범위하며 위성관측의 제한 등으로, 아직까지 확실한 근거로 입증되지 않은 불확실성한 가설들이 너무 많아 국제적인 공동연구기관에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온실가스와 오존은 어느 정도 발생량과 오염을 예측할 수 있으나, 에어로졸은 얼마가 발생되어 기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구름과의 특성 즉 미세물리학적 · 광학적변화가 복잡하여 전산화 · 수치화로 규명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 같다. 특히 수직적인 분산과 배출계수 그리고 지표의 에너지문제는 우선적으로 연구되어야한다.
□ 중국, 인도의 산업화와 황사문제로 아시아지역의 에어로졸에 의한 기후변화 등 환경과 경제적인 피해는 점점 증가될 것 같다. 한 국가가 국부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아시아전체의 협의체로 국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 저자
- Menon,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29
- 잡지명
-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0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