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금속이 도입된 덴드리머(Where organometallics and dendrimers merge: the incorporation of organometallic species into dendritic molecules)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은 나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관심을 받고 있는 거대 분자인 덴드리머에 유기금속 기능기를 도입한 새로운 덴드리머 합성, 특성 분석 그리고 응용 가능성에 대한 총설이다.

□ 덴드리머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온 화학물질보다 크기가 크고, 크기가 일정하며 많은 기능성을 가진 가지를 갖고 있는 거대분자로 나노기술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나노미터 크기 소재로 응용 가능성이 높아 많이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 유기계로만 이루어진 덴드리머에 대한 연구는 덴드리머가 개발된 이래 많이 연구되어 있으나, 유기금속 기능이 도입된다면, 특이한 특성을 갖는 유기금속 기능기가 갖고 있는 특성에 의해 기존 유기물 덴드리머가 갖지 못한 새로운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유기금속 덴드리머는 촉매나 산화-환원 활동을 이용한 센서 등의 새로운 응용가능성이 있다.

□ 유기금속 기능기를 덴드리머에 도입하는 방법은 덴드리머의 가지 부분, 덴드리머 중심 부분, 또는 덴드리머의 기본 단위마다 도입할 수 있다. 각각의 치환된 위치에 따라 보고된 다른 특성들을 정리하였고, 특성 분석이 가능한 알려진 화합물인 ferrocene이나, NCNNi 촉매 등을 기본 모델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덴드리머의 세대로 나타내는 크기나 모양, 조건에 따라 반응성이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하는 등 앞으로 보다 기초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덴드리머는 좋은 특성을 가진 거대분자이나, 21세기에 들어오면서 화학물질들에 대한 환경 친화적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덴드리머를 이용해 촉매의 재생 응용이나 칩상실험(lab on a chip)과 같은 소자를 개발하여 환경 오염물질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금속이나 유기 금속을 포함하는 덴드리머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합성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금속이 도입된 덴드리머는 매우 재미있는 특성을 발현하므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도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고부가 가치의 소재를 개발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Chase, PA; Gebbink, RJMK; van Koten, 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89(24)
잡지명
JOURNAL OF ORGANOMETALLIC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016~4054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